분류 전체보기
-
pseudocodeWith Computer/Etc 2020. 2. 7. 17:26
의사코드(슈도코드, pseudocode[1])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모듈이 작동하는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따라 쓰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말한다. 의사(疑似)코드는 말 그대로 흉내만 내는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처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알고리즘의 모델을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 데에 쓰인다. 의사코드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엄밀한 문법을 따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그러나 보통 사용자가 많은 C나 리스프, 포트란 프로그래밍 언어등의 문법을 본딴 모양이 많다. 엄밀한 묘사가 불필요한 부분에는 자연어가 자유롭게..
-
[intelliJ] TDD에서 실행쿼리 형태 확인With Computer/Spring Starter Project 2020. 2. 7. 16:53
[책]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resources 디렉토리 아래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생성 (책은 아이콘이 다른거같은데, 나는 걍 file로 생성해줌) spring.jpa.show_sql=true 변경전 Hibernate: create table posts (id bigint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author varchar(255), content TEXT not null, title varchar(500) not null, primary key (id)) H2 쿼리문법 적용됨 - MySQL로 변경원할경우, application.properties에서 추가 설정 spring.jpa.properties.hibernate...